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신고
- 등기원인을 증명하는 서면
- 부동산등기법
- 민법
- 미수범
-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
- 형사소송법
- 형사소송규칙
-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 증거
- 해상
- 상법
- 채권
- 회사
- 형법총칙
- 주식회사
- 제1심의 소송절차
- 소송절차
- 상속
- 상행위
- 계약
- 등기절차
- 형법
- 대한민국헌법
- 친족
- 가족관계등록법
- 상소
- 민사소송법
- 형법각칙
- 민사소송규칙
- Today
- Total
우리 법 이야기
구분건물의 소유권보존등기 등 본문
구분건물의 소유권보존등기 등
제정 1994. 11. 25. [등기선례 제4-835호, 시행]
갑 건설회사로부터 아파트 1채(대지지분 포함)를 분양받은 을이 갑을 상대로 대지지분을 제외한 전유부분에 대해서만 소유권이전등기절차 이행의 승소판결을 받았으나 그 아파트가 미등기이고 준공검사 미필로 건축물대장도 작성되어 있지 않으며 또한 그 판결문상 소유자 및 건물의 표시가 증명되지 않는 경우에는 을은 갑을 대위하여 을이 분양받은 구분건물에 대하여 위 구분건물이 갑의 소유임이 증명되는 부동산등기법 제131조제2호 소정의 서면 및 1동의 건물 및 각 전유부분의 표시가 된 서면이 있다면 나머지 구분건물에 대한 표시의 등기와 동시에 을의 분양받은 구분건물에 대한 소유권보존등기를 신청할 수 있을 것이나, 이러한 표시 또는 소유자의 증명이 없는 단순한 재산세과세대장등본에 의하여는 위 보존등기를 할 수 없다. 그리고 위 구분건물에 대지사용권이 있다면 그 보존등기신청시 신청서에 대지권의 표시를 하여야 하고(부동산등기법 제42조 참조) 이에 따라 대지권표시등기가 되면 전유부분과 대지사용권을 분리 처분할 수 없어 건물 만에 관한 소유권이전등기는 할 수 없으므로(부동산등기법 제135조의2제2항 참조) 위 전유부분 만에 대한 이행판결에 의하여는 분리처분 가능규약 또는 공정증서를 첨부하여 대지권표시등기를 하지 않거나 그 등기를 말소하지 않는 한 그 판결에 따른 이전등기를 할 수 없다.
(1994. 11. 25. 등기 3402-1373 질의회답)
참조조문 : 법 제42조, 제131조, 제131조의 2, 집합건물의소유및관리에관한법률 제20조
참조예규 : 제517호
참조선례 : 선례요지 Ⅱ 제145항, 제219항, 제233항, Ⅲ 제913항
(출처 : 구분건물의 소유권보존등기 등 제정 1994. 11. 25. [등기선례 제4-835호, 시행] > 종합법률정보 규칙)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부동산등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구분건물의 구분등기 (0) | 2021.08.20 |
---|---|
구분건물에 있어서의 등기사항 (0) | 2021.08.20 |
종중의 대표자변경등기 (0) | 2021.08.20 |
법인 아닌 사단이 등기를 신청함에 있어서 첨부할 서면 (0) | 2021.08.18 |
공동주택의 지하주차장의 전유부분등기 가부 (0) | 2021.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