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민법
- 미수범
- 제1심의 소송절차
- 회사
- 상법
- 주식회사
-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
- 민사소송법
- 계약
- 대한민국헌법
- 등기원인을 증명하는 서면
- 등기절차
- 부동산등기법
- 가족관계등록법
-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 해상
- 친족
- 형사소송법
- 상속
- 민사소송규칙
- 상소
- 채권
- 소송절차
- 형사소송규칙
- 형법총칙
- 형법각칙
- 신고
- 형법
- 상행위
- 증거
- Today
- Total
우리 법 이야기
중복등기가 아님에도 중복등기 정리절차에 의하여 등기용지가 폐쇄된 경우, 등기용지의 부활절차 본문
중복등기가 아님에도 중복등기 정리절차에 의하여 등기용지가 폐쇄된 경우, 등기용지의 부활절차
제정 2001. 9. 18. [등기선례 제6-422호, 시행]
1. 횡성군 둔내면 우용리 390-1번지의 토지에 관하여 지목이 임야이고 면적이 6,540평방미터인 갑 소유 명의의 등기(제1등기)와 지목이 임야이고 면적이 24,793평방미터인 을 소유 명의의 등기(제2등기)가 이중으로 경료되어 있으나, 위 제2등기는 처음부터 위 번지로 등기된 것이 아니라 원래는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 산 161 임야 2정 5단보로 등기되어 있다가, 면적단위 환산을 원인으로 한 부동산표시변경등기를 하는 과정에서 면적만 환산되어 기재되어야 함에도 등기관의 착오로 변경된 사실이 없는 지번까지도 변경 기재되어 위 횡성군 둔내면 우용리 390-1번지로 등기된 것이고 이러한 사실이 등기부상 명백할 뿐만 아니라 현재 제2등기가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 산161번지의 토지대장과 지목·면적·소유명의인 등에서 일치하고 있다면, 위 제2등기는 횡성군 둔내면 둔방내리 산161번지 임야 24,793평방미터의 토지를 표창하는 등기로서 제1등기와 중복된 등기라 할 수 없을 것이다.
2. 따라서 등기관이 위 제1등기와 제2등기를 중복등기로 판단하여 부동산등기법시행규칙 제117조에 따라 제1등기용지를 존치시키고 제2등기용지를 폐쇄하였다면 직권으로 제2등기용지를 부활하여야 한다.
(2001. 9. 18. 등기 3402-655 질의회답)
참조조문 : 법 제175조, 제176조, 규칙 제117조, 제121조, 제123조
참조예규 : 제763호, 제795호
(출처 : 중복등기가 아님에도 중복등기 정리절차에 의하여 등기용지가 폐쇄된 경우, 등기용지의 부활절차 제정 2001. 9. 18. [등기선례 제6-422호, 시행] > 종합법률정보 규칙)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부동산등기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외관상 중복등기의 정리절차 (0) | 2021.07.18 |
---|---|
중복등기정리 등 (0) | 2021.07.18 |
건물 중복등기 정리절차(선례변경) (0) | 2021.07.18 |
중복등기의 판단기준 (0) | 2021.07.18 |
이미 등기된 토지가 분할되어 별개의 2필지의 토지로 지적복구된 경우 중복등기 정리방법 (0) | 2021.07.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