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5-20 00:08
관리 메뉴

우리 법 이야기

이혼한 모가 전혼 중에 출생한 혼인 중의 자를 입양할 수 있나요?(예규) 본문

가족관계등록등에관한법률

이혼한 모가 전혼 중에 출생한 혼인 중의 자를 입양할 수 있나요?(예규)

법도사 2021. 4. 30. 07:43

***이혼한 모가 전혼 중에 출생한 혼인 중의 자를 입양할 수 있나요?(예규)

 

 입양은 혼인 중의 출생자와 같은 신분을 취득하게 하는 창설적 신분행위이므로 자신의 친생자녀라도 혼인 중의 출생자가 아닌 사람은 입양할 수 있을 것이나 혼인 중의 출생자에 대해서는 이러한 가족관계를 창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혼한 모가 전혼 중에 출생한 혼인 중의 자를 입양할 수는 없습니다(1.).

 

친생자 입양에 관한 사무처리지침

제정 2007. 12. 10. [가족관계등록예규 제130호, 시행 2008. 1. 1.]

 

1. 입양은 혼인 중의 출생자와 같은 신분을 취득하게 하는 창설적 신분행위이므로 자신의 친생자녀라도 혼인 중의 출생자가 아닌 사람은 입양할 수 있을 것이나 혼인 중의 출생자에 대해서는 이러한 가족관계를 창설할 필요가 없으므로 이혼한 모가 전혼 중에 출생한 혼인 중의 자를 입양할 수는 없다.

 

2. 1995. 3. 22. 이전의 종전 대법원 호적예규에 따라 이혼한 생모가 혼인 중 출생한 자를 단독으로 입양한 경우, 그 입양해소가 되지 아니한 경우에도 생모와 재혼한 부()가 그 양자를 입양할 수 있다.

 

3. 2항 전단에 따라 생모가 혼인 중 출생자를 입양한 후 사망한 경우에도, 그 입양의 해소 없이 제3자가 그 양자를 입양할 수 있다.

 

4. 3항의 경우 가족관계등록공무원은 새로운 입양신고가 수리되면 양자의 특정등록사항란 양모란의 생모 겸 양모 성명을 직권말소한 후 그 란에 새로운 양모의 성명을 기록한 다음, 양자의 일반등록사항란에 아래와 같이 기록한다. 또한 양자의 일반등록사항란에는 현재 효력 있는 최초 입양사유 외에도 새롭게 이루어진 입양사유를 기록하여야 한다.

 

5. 3항에 따른 새로운 양친자관계가 파양된 경우에는 그 파양의 가족관계등록부기록이 이루어진 후에 제4항에 따라 말소되었던 양모의 기록을 다시 기록하여야 한다.

 

6. 배우자의 전혼 중에 출생한 혼인 중의 자를 입양하고자 할 때에는 민법874조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친생자 관계가 없는 배우자 일방이 단독으로 입양할 수 있다.

 

7. 혼인 외 자는 생모 및 생모와 혼인한 외국인 배우자가 함께 입양할 수 있다.

 

(출처 : 친생자 입양에 관한 사무처리지침 제정 2007. 12. 10. [가족관계등록예규 제130호, 시행 2008. 1. 1.] > 종합법률정보 규칙)

 

 ‘친생자 입양에 관한 사무처리지침(가족관계등록예규제130)’이었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오늘도 어제처럼 복 많이 지으세요!!!

 

 코로나19 자원봉사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최상의 찬사를 올립니다!!! 존경합니다!!! 거룩하십니다!!! 분명코 님들의 빛나는 헌신으로 인해 코로나19는 곧 대한민국에서 사라질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은 님들의 빛나는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할 것 같네요!!!

 

 정말로 감사합니다!!! 대한민국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