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05-23 08:11
관리 메뉴

우리 법 이야기

징계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조문(5) 본문

형사소송법

징계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조문(5)

법도사 2021. 3. 25. 17:58

***징계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조문(5)

 

 수사처검사가 재직 중 정치운동에 관여하는 일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때에는 징계합니다(32조제1).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타법개정 2020. 12. 15. [법률 제17646호, 시행 2021. 1. 1.]

출처 : 법제처

 

5장 징계

 

제32조(징계사유) 수사처검사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면 그 수사처검사를 징계한다.

1. 재직 중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때

. 정치운동에 관여하는 일

. 금전상의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업무에 종사하는 일

. 처장의 허가 없이 보수를 받는 직무에 종사하는 일

2. 직무상의 의무를 위반하거나 직무를 게을리하였을 때

3. 직무 관련 여부에 상관없이 수사처검사로서의 체면이나 위신을 손상하는 행위를 하였을 때

 

33(수사처검사징계위원회) 수사처검사의 징계 사건을 심의하기 위하여 수사처에 수사처검사징계위원회(이하 "징계위원회"라 한다.)를 둔다.

징계위원회는 위원장 1명을 포함한 7의 위원으로 구성하고, 예비위원 3명을 둔다.

 

34(징계위원회 위원장의 직무와 위원의 임기 등) 징계위원회의 위원장은 차장이 된다. 다만, 차장이 징계혐의자인 경우에는 처장이 위원장이 되고, 처장과 차장이 모두 징계혐의자인 경우에는 수사처규칙으로 정하는 수사처검사가 위원장이 된다.

위원은 다음 각 호의 사람이 된다.

1. 위원장이 지명하는 수사처검사 2

2. 변호사, 법학교수 및 학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으로서 위원장이 위촉하는 4

예비위원은 수사처검사 중에서 위원장이 지명하는 사람이 된다.

2항제2호에 따라 위촉된 위원의 임기는 3년으로 한다.

위원장은 징계위원회의 업무를 총괄하고, 회의를 소집하며, 그 의장이 된다.

위원장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위원장이 지정하는 위원이 그 직무를 대리하고, 위원장이 지정한 위원이 부득이한 사유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에는 위원장이 지명하는 예비위원이 그 직무를 대리한다.

 

35(징계위원회의 사무직원) 징계위원회에 간사 1명과 서기 몇 명을 둔다.

간사는 위원장이 지명하는 수사처검사가 되고, 서기는 수사처 소속 공무원 중에서 위원장이 위촉한다.

간사 및 서기는 위원장의 명을 받아 징계에 관한 기록과 그 밖의 서류의 작성 및 보관에 관한 사무에 종사한다.

 

36(징계의 청구와 개시) 징계위원회의 징계심의는 처장(처장이 징계혐의자인 경우에는 차장을, 처장 및 차장이 모두 징계혐의자인 경우에는 수사처규칙으로 정하는 수사처검사를 말한다. 이하 이 조 및 제38조제1, 39, 40조제2, 42조제1항에서 같다.)의 청구에 의하여 시작한다.

처장은 수사처검사가 제32조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하였다고 인정할 때에는 제1항의 청구를 하여야 한다.

징계의 청구는 징계위원회에 서면으로 제출하여야 한다.

 

37(징계부가금) 36조에 따라 처장이 수사처검사에 대하여 징계를 청구하는 경우 그 징계 사유가 금품 및 향응 수수, 공금의 횡령유용인 경우에는 해당 징계 외에 금품 및 향응 수수액, 공금의 횡령액유용액의 5배 내의 징계부가금 부과 의결을 징계위원회에 청구하여야 한다.

1항에 따른 징계부가금의 조정, 감면 및 징수에 관하여는 국가공무원법78조의22항 및 제3항을 준용한다.

 

38(재징계 등의 청구) 처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로 법원에서 징계 및 제37조에 따른 징계부가금 부과(이하 "징계 등"이라 한다.) 처분의 무효 또는 취소 판결을 받은 경우에는 다시 징계 등을 청구하여야 한다. 다만, 3호의 사유로 무효 또는 취소 판결을 받은 감봉견책 처분에 대해서는 징계 등을 청구하지 아니할 수 있다.

1. 법령의 적용, 증거 및 사실 조사에 명백한 흠이 있는 경우

2. 징계위원회의 구성 또는 징계등 의결, 그 밖에 절차상의 흠이 있는 경우

3. 징계양정 및 징계부가금이 과다한 경우

처장은 제1항에 따른 징계 등을 청구하는 경우에는 법원의 판결이 확정된 날부터 3개월 이내에 징계위원회에 징계 등을 청구하여야 하며, 징계위원회에서는 다른 징계사건에 우선하여 징계 등을 의결하여야 한다.

 

39(퇴직 희망 수사처검사의 징계사유 확인 등) 처장은 수사처검사가 퇴직을 희망하는 경우에는 제32조에 따른 징계사유가 있는지 여부를 감사원과 검찰경찰, 그 밖의 수사기관에 확인하여야 한다.

1항에 따른 확인 결과 해임, 면직 또는 정직에 해당하는 징계 사유가 있는 경우 처장은 지체 없이 징계 등을 청구하여야 하며, 징계위원회는 다른 징계사건에 우선하여 징계 등을 의결하여야 한다.

 

40(징계혐의자에 대한 부본 송달과 직무정지) 징계위원회는 징계청구서의 부본을 징계혐의자에게 송달하여야 한다.

처장은 필요하다고 인정할 때에는 징계혐의자에게 직무 집행의 정지를 명할 수 있다.

 

41(징계의결) 징계위원회는 사건심의를 마치면 재적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징계를 의결한다.

위원장은 의결에서 표결권을 가지며, 찬성과 반대가 같은 수인 경우에는 결정권을 가진다.

 

42(징계의 집행) 징계의 집행은 견책의 경우에는 처장이 하고, 해임면직정직감봉의 경우에는 처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한다.

수사처검사에 대한 징계처분을 한 때에는 그 사실을 관보에 게재 하여야 한다.

 

43(다른 법률의 준용) 이 장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에 대하여는 검사징계법3, 9조부터 제17조까지, 19조부터 제21조까지, 22(다만, 2항의 "23""42"로 본다), 24조부터 제26조까지의 규정을 준용한다. 이 경우 "검사""수사처검사"로 본다.

 

(출처 :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 타법개정 2020. 12. 15. [법률 제17646, 시행 2021. 1. 1.] > 종합법률정보 법령)

 

 이상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법률’ ‘5장 징계였습니다.

 

 이만 줄입니다.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오늘도 어제처럼 복 많이 지으세요!!!

 

 코로나19 자원봉사자 여러분께 진심으로 감사드리고, 최상의 찬사를 올립니다!!! 존경합니다!!! 거룩하십니다!!! 분명코 님들의 빛나는 헌신으로 인해 코로나19는 곧 대한민국에서 사라질 것입니다!!!

 

 그러나 아직은 님들의 빛나는 헌신이 헛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할 것 같네요!!!

 

 정말로 감사합니다!!! 대한민국만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