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채권
- 상소
- 형법총칙
- 계약
- 회사
- 형사소송법
- 등기원인을 증명하는 서면
- 제1심의 소송절차
- 미수범
- 주식회사
- 민사소송규칙
- 친족
- 민사소송법
- 상법
- 형사소송규칙
- 형법
- 등기상 이해관계 있는 제3자
- 민법
- 해상
- 형법각칙
- 부동산등기법
- 신고
-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
- 증거
- 대한민국헌법
- 가족관계등록법
- 상행위
- 상속
- 소송절차
- 등기절차
- Today
- Total
우리 법 이야기
가상계좌에 의한 공탁금 납입절차에 관한 업무처리지침 본문
가상계좌에 의한 공탁금 납입절차에 관한 업무처리지침
개정 2012. 12. 12. [행정예규 제936호, 시행 2012. 12. 17.]
제1조(목적) 이 규정은 공탁자가 가상계좌입금에 의한 공탁금 납입을 신청한 경우 업무처리절차를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가상계좌납입 신청 등) ① 공탁자가 가상계좌납입 신청을 하는 경우에는 공탁서 비고 가상계좌납입 신청란에 그 취지를 표시하여야 한다.
② 부동산 경매에 있어서 매각허가결정에 대한 항고보증공탁을 하는 경우(「민사집행법」 제130조제3항 및 제268조)에는, 공탁금 보관은행을 경유하여 이자소득세 원천징수에 필요한 사항을 등록한 후 "계좌납입신청"을 하여야 하고, 주민등록번호(개인)나 사업자등록번호(법인 등)를 소명할 수 있는 자료를 첨부하여야 한다.
③ 공탁자는 납입증명을 한 공탁서를 우편으로 우송받고자 하는 경우 수신인란에 공탁자의 성명과 주소, 전화번호를 기재하고 「우편법 시행규칙」 제25조제1항제4호다목에 의한 배달증명으로 할 수 있는 가액의 우표를 붙인 우편봉투를 함께 제출하여야 한다.
제3조(가상계좌번호 부여절차 등) ① 공탁관은 공탁자가 공탁금 계좌입금을 신청한 경우에는 공탁수리 후 공탁금보관자에게 가상계좌번호부여를 요청하여야 한다.
② 공탁금보관자는 공탁관으로부터 가상계좌번호 부여를 지시받은 즉시 번호를 채번하여 공탁관에게 전송하여야 한다.
③ 공탁관은 공탁금보관자로부터 가상계좌번호를 전송받은 후 공탁서는 보관하고 별지1과 같은 납입안내문을 출력하여 공탁자에게 교부하여 납입기한 안에 동 계좌로 납부하게 하여야 한다.
제4조(가상계좌납입절차 등) ① 공탁자는 납입기한의 통상 업무시간까지 지정된 계좌로 납입하여야 한다.
② 공탁금보관자는 가상계좌로 공탁금 납입시 공탁소에서 전송된 납입기한 및 공탁금액과 대조하여 확인한 후 납입처리하고, 그 처리결과를 공탁관에게 전송하여야 한다.
③ 공탁자가 계좌번호오류, 은행의 전산다운 등의 사유로 납입마감일의 통상 업무시간까지 공탁금을 납입하지 못한 경우 당해 공탁사건은 실효처리 된다. 단, 공탁관에게 납입기한 연장을 요청하여 승인을 받은 경우는 예외로 한다.
④ 공탁관은 당해 공탁사건이 실효처리 된 경우 보관 중인 공탁서를 공탁기록에 편철한다.
제5조(계좌납입신청 철회ㆍ납입취소 등) ① 공탁자는 가상계좌로 공탁금이 납입되기 전까지는 가상계좌납입 신청을 철회하고 관할공탁소 공탁금보관자에게 직접 납입할 수 있다.
② 공탁관은 공탁자가 계좌납입신청을 철회하면 공탁서 비고란을 정정하게 하고 가상계좌 전산등록을 삭제한 후 보관중인 공탁서를 교부하여야 한다.
③ 공탁자가 착오납입 등을 한 경우 납입당일에 한해 통상 업무시간 전까지 별지2.의 양식에 의해 공탁관의 확인을 받아 공탁금보관자에게 납입취소를 요청할 수 있다.
④ 공탁금보관자는 공탁자가 별지2 양식에 의한 납입취소 신청에 의해 납입취소를 한 경우 5년간 이 서류를 보관하여야 한다.
제6조(공탁서 교부 등) ① 공탁관은 공탁금보관자로부터 납입전송을 받은 후 지체 없이 보관 중인 공탁서에 납입증명을 하여 공탁자 또는 정당한 대리인에게 교부하거나 제2조 제3항의 경우에는 우편으로 발송하여야 한다.
② 제1항의 우편발송의 경우 봉투 발신인란에 공탁소의 명칭과 그 소재지 및 공탁관의 성명, 전화번호를 기재하여야 한다.
③ 제1항의 우편발송의 경우 배달증명서가 송부되어 오거나 공탁서가 반송된 경우에는 이를 공탁기록에 편철하고 공탁기록표지 비고란에 그 뜻을 기재하여야 하며, 반송된 경우는 지체 없이 우편봉투에 기재된 전화번호로 연락을 취하여야 한다.
④ 제1항에 의한 공탁서 교부시 또는 우편발송이 반송된 후 공탁서를 직접 교부할 경우에는 신분증명서, 위임장(대리의 경우) 등에 의하여 본인 또는 정당한 대리인(공탁신청 대리인을 제외하고는 인감증명 첨부된 위임장 제출요)임을 확인하고, 제출된 서류는 당해 공탁기록에 편철한 후 교부취지를 공탁기록표지 비고란에 기재하고 교부하여야 한다(예시 : 2006. . . : 공탁서 교부, 수령인 공탁자(대리인) ○○○ 인 또는 서명).
제7조(납입취소 신청서 비치) 공탁소(시ㆍ군법원 포함)에는 별지 2 납입취소 신청서를 비치하여 민원인의 편의를 도모하여야 한다.
(출처 : 가상계좌에 의한 공탁금 납입절차에 관한 업무처리지침 개정 2012. 12. 12. [행정예규 제936호, 시행 2012. 12. 17.] > 종합법률정보 규칙)
감사합니다!!! 행복하세요!!!
'공탁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탁금지급청구권의 양도통지가 있는 경우 주요업무처리지침 (0) | 2021.05.30 |
---|---|
공탁물품의 매각ㆍ폐기에 관한 예규 (0) | 2021.05.30 |
공탁금지급청구권의 소멸시효와 국고귀속절차 (0) | 2021.05.30 |
재판상 담보공탁금의 지급청구절차 등에 관한 예규 (0) | 2021.05.30 |
국민저축조합저축 미환급잔액의 일괄 공탁에 관한 업무처리지침 (0) | 2021.05.30 |